전체 글 1677

코로나 시대 첫 보충수업

코로나 시대의 보충수업이라니. 안되지만 않으면 뭐든 가능한 게 학교다. 그리고 오늘부터 보충수업이 시작되었다. 영어 보충수업 신청자 : 7명 총 시수 : 8시간 (내가 4시간, 다른 선생님이 4시간) 수업 시수에 대해서 너무 짧은 시간이라, 어떤 상상을 해야 이 수업을 의미있게 만들까 고민하게 된다. 매일 한 시간씩 공부해서 8일을 하면 바꿀 수 있는 게 무엇이 있을까? 상상하기 어렵다. 도저히. 하지만 가능성은 있다. 한 주에 한 번만 만나고, 오프라인 수업에 만나기 때문에 이 만남은 8주간 지속된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방식에 대해 조언하고, 성취해야할 목표를 설정하고 확인한다면 학습 멘토로 학생들을 도울 수 있다. 단 신청한 학생이 7명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지도를 해주려면 상당한 시간이 든다는 점..

영어 독해 학습지 문장 번호 넣기

안녕하세요. 저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습지는 모두 구글문서를 활용해서 만듭니다. 공유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고, 검색해서 나중에 찾기도 쉽기 때문이죠. 이제는 몇 가지 한글 폰트도 제공해서 예전보다는 좀 더 '이쁜' 학습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학생들과 독해 후 심화 활동을 하려고 보니, 문장에 번호를 자동으로 붙이거나, 문장 옆에 line number 를 쓰면 좋겠더군요. 학생들이 찾기 쉽도록. 그래서 알아보니 구글 크롬 extension 중에 line numbering 을 가능하게 해주는 툴이 있었습니다. 그 툴에 대한 사용 방법과 결국에 제가 선택한 방법을 간략이 영상으로 찍어봤습니다. 수업 준비하시는 선생님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학교 관련 2020.06.28

노션(Notion)으로 오프라인 수업 기록

노션의 테이블은 굉장히 유용하다. 이전에는 구글캘린더로 진도기록과 수업 내용을 관리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계획한 것 중 수행한 부분과 다음 수업 시간에 마무리 해야 하는 활동을 잘 기록해두는 것이다. 거기에 더해,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피드백까지 남기면 더 좋고. 구글캘린더는 '좁은 틈'에 기록을 남기기기 불편했으나, 노션은 역시나 자유도가 높다. 이런 기록을 누적하다가 영상으로도 튜토리얼을 찍어볼 생각.

Johari Window | 조하리의 창 |

수능 지문 혹은 수능대비 문제지들은 정말 다양한 내용을 다룹니다. 어느 영역에서나 중요하겠지만, 그래서 많은 경우 학생들에게 '독서'를 권하지요. 모든 영역에 대한 책을 읽을 수는 없어서, 관심있는 영역에 대해 책을 읽어 나가다 보면, 깊어질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관심의 폭이 넓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책으로 다 읽을 수 없다면, 누군가의 설명을 듣는 것도 좋은 방법이기는 합니다. 일단 '입문'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으로 시작하면 되니까. 영어수업을 준비하면서, 지문에 나오는 다양한 배경지식들 중 학생들에게 두고두고 도움이 되거나, 제가 제 수업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마스크 쓰고 설명하기 너무 힘든 요즘, Johari window에 대해 설명하는..

학교 관련 2020.06.24

6살 딸에게 읽어주는 노인과 바다

딸에게 노인과 바다를 읽어 주고 있다. 딸을 재우면서 늘 옆에서 나는 책을 읽는다. 딸은 잠을 자고 싶지 않아서 내곁으로 고개를 밀고 내가 뭘 하나 본다. 나는 거듭 누우라고 눈을 감으라고 한다. 그러다가 가끔 내가 읽고 있던 영어책을 읽어주기도 했다. 엊그제부터는 김초엽 작가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읽고 있는데, 내가 딸에게 책 읽어줄까 했다. 그랬더니 좋다고 해서 책을 골랐다. 6살 딸이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가 그래도 좀 나오는 책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노인과 바다'라는 책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이 있을까. 너무 유명한 책, 너무 재미있다는 영화에는 손이 가지 않는 사람이 많지 않을까. 나는 그렇다. 베스트셀러를 그 베스트셀러가 한창일 때 읽어본 적이 없다. 노인과 바다는 내게 '..

구글설문지로 학습지 만들기 | EBS 온라인 클래스로 과제 주기 | 학생들이 찍은 사진을 구글 설문지로 받기

과제를 받아서 출석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우선 온라인 강의나 선생님이 만든 자료를 보고, '어떤 형태'의 과제를 내줄 지도 고민이 많습니다. 이제 그 과제를 학생들에게 어떻게 받아야 하느냐도 고민입니다. EBS 온라인 클래스는 몇 가지 옵션을 제공하지만, 제 성에는 차지 않더군요. 우선 과제를 온라인으로 받게 되는데,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누가 내고 누가 안 냈느냐 겠죠? 그걸 쉽게 정리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 학생들이 집에서 학습지를 '인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니 온라인에서 바로 학습지를 작성할 수 있으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결국(?) 또 구글문서로 왔는데, 학교에 있는 선생님들에게 연수를 하다 보니, 학생들이 만든 결과물을 사진으로 찍고 그걸 받으면 좋겠다고 하시더군요. 수학과라면 문제..

페이스북 너머의 소셜네트워킹 : Scuttlebut

지금 읽고 있는 책 중 하나는 How to Do Nothing 이다. The choice—not of what to say (“What’s on your mind?”) but whether and when to participate—doesn’t feel like it belongs to me when I use Facebook and Twitter. A counterexample would be the sparse UX of Patchwork,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that runs on Scuttlebutt. Scuttlebutt is a sort of global mesh network that can go without servers, ISPs, or even Int..

일상사/Stuff 2020.04.23

진주여고 등교길, 1학년동과 교실, 진주여고 전경

안녕하세요. 진주여자고등학교 학생 여러분. 신규 확진자가 많이 줄었고, 진주 지역은 특히나 조용한 편이지만, 아직도 완치되지 못하고 치료를 받고 있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그 분들을 위해, 우리는 위해 많은 의사, 간호사, 그 외 의료 종사자, 공무원분들이 애쓰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대로 봄도 만끽하지 못 하고 친구도 자유롭게 만나지 못하고 있지요. 특히나 1학년 신입생들은 제대로된 입학식도 하지 못하고 엉겁결에 개학만 시작해버려 어리둥절 할 겁니다. 그래서 학교 가는 길을 영상으로 찍어봤습니다. 딱 1학년 동까지만 갔습니다. 이 영상으로라도 학교에 오고 싶은 마음이 조금 위로가 되었으면 합니다. 오프라인 개학하면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0.04.23

내가 만든 동영상을 Youtube에 올리고, EBS 온라인 클래스 수업 자료로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선생님들에게 구글드라이브, 수업강의 촬영에 대한 연수를 준비하고, 연수 강의를 하기도 하고, 연수를 도와드리기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출석 확인을 위한 보조장부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도 생각하고 만들기도 했네요. 정작 제 수업 준비는 다 하지 못했는 데 말이죠. 아무튼 연수에서 보니 선생님들이 모두 강의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고, 공유링크를 복사해서 EBS온라인 클래스에 강의자료로 사용하는 과정에 큰 관심을 보이셨습니다. EBS 온라인 클래스는 EBS에서 준비한 강좌를 그대로 가지고 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강좌 개설이나 관리가 정말 불편합니다. 무엇 하나 하려고 하면 계속 새 창을 만들고, 사용한 용어도 비슷비슷(클래스, 강좌....)해서 혼란스럽습니다. 일단 영상을 만드는 데 성공하..

영어 교사의 온라인 수업 만들기 : Explain edu 로 만들고 Luma fusion 으로 편집/ 아이패드, 애플펜슬 필요

오늘 페이스북에 공유된 영상을 보니, 집 거실에 칠판을 설치하고, 캠코더와 무선 마이크, 빔프로젝터로 EBS같은 수업을 촬영하시는 선생님도 있더군요. 학교 방송실에나 있는 설비를 개인이 준비한다니 대단합니다. 제가 근무하는 학교에도 사비 70만원을 들여 수업 갈 때마다 빔프로젝터를 가지고 다니며 수업 하셨던 선생님이 계시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네. 교실마다 빔프로젝터가 설치된 학교가 아직 많지 않습니다. 지난번 영상은 수업 전체를 어떻게 준비하는 지에 대한 흐름에 대해 촬영했습니다. 오늘은 '강의 영상 제작 및 편집'에 대한 내용입니다. 단, 아이패드와 애플펜슬이 있어야 하지만, 이 정도는 이미 '사비로' 준비해서 수업 준비나 수업에 활용하고 있는 선생님이 분명 있으실 겁니다. (그런 선생님들은 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