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관련/고교학점제 6

원고공유] 중학교 학부모 대상 고교학점제 설명

가끔 고교학점제 관련 강의 문의가 온다. 작년과 재작년 합천지역 중학생들에게 고교학점제에 대해 설명해주러 간 적이 있다. 중학교 선생님들에게도 아직은 고교학점제가 낯설기 때문에 선생님들도 같이 앉아 들으시기도 한다. 작년에는 진명여중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에게도 고교학점제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다. 그런 인연으로 올해에 관내 중학교에 가서 고교학점제에 대해 설명했다. 중 3 학부모님들이라 아무래도 이미 학생이 진학했으면 하는 고등학교는 정해져 있다. 결국 고등학교 생활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 설명을 드렸고, 우리 지역 일부 고등학교의 2024학년도 기준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내가 보기에 특징적이라 생각하는 것을 알려드렸다. 혹시나, 다른 학부모님들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비슷한 강의를 하러 가..

2024학년도 입학생 교육과정편제 완성에 축배~

2024학년도 입학생 교육과정 편제표가 완성되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1학기가 되기도 전에 완성하기도 하는데, 경남 지역은 그 정도로 서두르지는 않는다. 12월 말에는 편제표를 제출해야 하고, 그 전에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정말 마지노선까지 기한을 미뤄 왔다. 그걸 기념한다랄까 아니면 내년을 준비하기 위한 걸까. 학교를 벗어나 맛있는 디저트와 차를 마셨다. 교육과정위원회는 20번 넘게 했다. 과목 대표끼리 모인 자리에서 논의가 안 된 부분은 끝까지 이야기했다. 교장 선생님에게 어필하기도 하고, 다시 서로 양보를 할 수 있도록 시간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전의 34단위에서 32단위로 계속해서 수업 단위가 줄어들다 보니 비좁은 틈에 차고 앉은 각 과목들은 서로 좁다며 비명을 지르는 모양새..

2022 교과 세특 기재 예시 도움 자료

교육부와 교육청, 함국교육과정평가원이 손생님들과 함께 제작한 교과세특 기재 예시 자료집입니다. 이 자료는 성취기준과 그에 따른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이뤄진 수업 활동에 대해 어떻게 교과세특을 작성하면 좋을지 예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전체적인 평가, 학생 발달 사항 등 내용을 구분하여 보기 쉽도록 색을 달리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반부에는 교과별 역량에 대해 정리해두어, 내 교과가 아닌 다른 교과에서의 교과 목표에 대해서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 수업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구상 -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기준 구체적 기술 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결국 좋은 기록과 평가를 준비하려면 성취 기준에 대한 충실한 이해가 중요하겠습니다. 당장 저도 그간의 수업 구상..

고교학점제와 '단위 학교 분할' 산출 방식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면, 학업성취도 40% 이하인 학생은 해당 과목을 이수할 수가 없다. 고교학점제가 학생들의 교육과정 이수를 방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의 학생 학업에 대한 책임을 높이기 위한 정책에 가깝다. 대입을 위한 9등급 성적이 워낙 큰 비중을 차지 해왔기 때문에 성취평가제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취도에 대한 관심은 적었던 편이다. 하지만 이제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는 만큼 학생들의 과목 이수를 염려해서라도 평가 방식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성취평가제 성취평가제는 성취기준을 근거로 평가기준을 작성하고 그에 따른 성취수준으로 학생을 평가 하는 방식이다. 등급제와는 달리 학생이 무엇을 얼마나 배웠는가를 확인하는 데 있고, 성취수준에 따라 교과별로 5개..

얘들아, 교과서 구경 오렴.

작년에 하지 않았던 일을 올해 할 수 있는 건, 작년에 열심히 구경을 다닌 탓이고, 같은 부서 선생님들이 열심히 도와주시기 때문이다. 머리 속에 있는 아이디어는 아이디어가 아니다. 실행되고 나서야 아이디어다. 고3 수업을 하는 경우, '교과서와 다른' 내용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내년에는 또 누가 어떤 과목을 가르치게 될 지 분명하지 않기도 하다. 그러니 최소한 학생들에게 교과서는 구경시켜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 학교에 개설되지 않았더라도, 그래서 우리 학교에서 사용해 본 적이 없는 교과서도 별도의 예산으로 구입했다. 장소 우리학교 1층 역사관 주변 공간을 사용했다. 학생들이 등하교 하는 출입구에서 가까워서 접근성이 높다고 생각했다. 교과서 배치 방법 교과서는 교과군별로 진열했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