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관련 395

여름방학 web tool을 익힐 수 있는 기회 : Summer PD New Teacher boot camp #elt_ #krsam

안녕하세요. 너무 오래간만에 글을 씁니다. 7월이 시작되면서, 2주간 글을 계속 쓰겠다는 약속은 물거품처럼 사라졌고, 한참만에 다시 블로그 '글쓰기'를 클릭했네요. 오늘은 저도 참여하려 했지만, 그냥 두었다가 이제야 한번 시작해보려는 것에 대해서 안내해들리려고 합니다. 제가 자주 읽는 google reader feed 중에, Edutopia가 있습니다. 우리 나라 영어교육에 대한 내용들은 아니지만, 영어교육이나 교육에 대한 다양한 글들을 읽을 수 있고, 이 글들을 교사들이 쓰기 때문에 공감할 만한 내용들도 많습니다. 미국을 기준으로, 긴 여럼방학 후에, 새학년도가 시작되는 데, 이를 겨냥해서 인지 Summer PD(Professional Development) 라는 타이틀로 Web tool 사용법을 설명..

교육에 관련된 Infographics

다음 inforgraphics들의 출처는 : http://blog.socrato.com/10-jaw-droppingly-awesome-infographics-on-education/ 10개의 infographics 중에서, 대부분이 미국에 대한 내용이지만, 그래도 우리나라에도 해당될 만한 것들을 꼽아봤습니다. 1. 교육관련 Social Networking 사용 정도 우리 나라 학생들도, facebook, cyworld, 인터넷카페 등을 통해서, SNS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학생들이 자신의 블로그를 가지고 있거나 교육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과 많은 소통을 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검색 등을 해보면, 학습관련 사이트나 질답을 위한 사이트는 많이 있지만요. 학교에서의 컴퓨터 ..

학교 관련 2011.07.11

우리나라 선생님과 학생의 SNS 공간 - Schoolme

우선 우리 나라에 이런 서비스가 생겼다니 너무 기쁠 따름입니다. 이전에 쓴 Edmodo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입니다. Edmodo는 완전히 facebook같다는 느낌이 많이 들지만, Schoolme는 그 정도는 아니지만, 익숙한 느낌입니다. 얼른, 아이폰용, 안드로이드폰용 전용앱이 만들어지면 좋겠네요. Edmodo의 경우에는 iphone용 앱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폰용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 What is Schoolme? & How do we use this? Schoolme의 특징 - 한국어, 영어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학교에 근무하는 원어민 선생님들도 사용할 수 있는거죠) - 파일, 외부링크 비디오 공유가능합니다. - 선생님이 학생을 초대하여, Social Network를 만드는 거라, 학생..

Google Plus 기쁨의 포스팅

오늘 아침, 늘 그런 것처럼(?) Facebook feed와 Twitter #edutech #eltchat #educhat feed를 확인했습니다. 보니, Google Plus project로 떠들썩 하더군요. 이 동영상만 봐도 '이건 있어야돼'라는 생각이~!! 그래서, 가장 빠른 트윗터를 통해서, 수소문을 했습니다. 그리고 친절하게 날아든 초대 메일 : ) 그래서, 가입됐습니다. : ) 제가 가장 관심있는 건, Hangout. 사람들의 평이 좋으니, 이 서비스가 그냥 꼬꾸라 지진 않겠죠? 가입화면입니다. Profile Photos : 사진은 picasaweb앨범과 링크할 수 있습니다. Circles : 나의 친구들을 묶어 놓는 거죠. Sparks : 자신의 관심사를 등록해두고, 그에 관련된 feed를 ..

교사와 학생의 소셜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Edmodo 서비스

저는 선생님들도 블로깅을 하고, 더 나아가서 학생들도 블로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들은 학습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고,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해나가는 것이죠. 그리고, 자신의 수업 노하우를 공개하고, 다른 선생님들과 소통하면서,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블로깅이 소셜네트워킹의 시작이라면,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궁극적인 소셜네트워크라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외국의 교사-학생의 소셜공간인 edmodo에 대한 포스트를 봤습니다. : 포스트보기 Edmodo에 대한 간단한 소개영상을 보시면, 위 포스트에서, 선생님이 밝힌 Edmodo의 장점은 - 학습자료를 공유하고, - 수업에 빠진 학생들이, 빠진 시간에 학습한 것을 알려줄 수 있고, - 학생들에게 도움을 제공..

사진을 확대-축소하며 보여줘야 할때 Zoom.it

여러가지 웹tool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제가 가장 자주 읽는 블로그는 Free technology for teachers 입니다. 일단 잘생긴 주인장의 사진이 사람을 끌죠. : ) 눈에 띄는 것들을 메모해두는 데, 공유를 위해서 블로그로 써둡니다. 수업 시간에 컴퓨터와 TV를 이용해서 사진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사진을 좀 자유롭게 확대,축소 하면 할 때, (아이패드가 있으면, 너무 좋겠죠? ㅎ) 파워포인트를 만들거나 하기에는 너무 귀찮죠. 애니메이션 효과 블라블라;; 이 서비스를 쓰면, 자신이 선택한 사진(정확히 말하면, 사진의 웹주소)을 가지고 확대,축소가 쉽도록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다음과 같이요. Facebook, twitter 등에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링크도 제공해줍니다. ..

눈에 띄는 새로운 wiki : wikipainting 와 Google artproject

수업준비를 하면서, Matisse의 그림을 찾다가 발견한 사이트입니다. http://wikipaintings.org 영어수업을 위해서만 쓸 방법이 딱 있는 건 아니겠지만, 좋은 '미디어 자료'를 제공해줄테니까요. 몇가지 기능을 살펴보면, - 작가, 스타일, 시대 등에 따라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전체화면(F11)과 방향키를 활용해서, 편안하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twitter 등 SNS를 통해 손쉽게 공유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전부터 블로그로 써놔야지 했던 Google Artproject도 소개드립니다. http://www.googleartproject.com/ 세계정복(?)을 꿈꾸는 구글답게 대단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세계 유수의 미술관, 박물관들을 직접 가서 보는 것처럼..

학교 관련 2011.06.20

Storify : SNS를 활용한 자신의 이야기 만들기

오늘 소개해드릴 곳은 Storify 라는 서비스입니다. SNS 를 활용하여, 또다른 형태의 미디어 매체를 발행하는 것 중에 유명한 것으로, paper.li 가 있고, 이미 많은 분들이 사용 중이신데, Storyfiy도 참 재미있어 보입니다. 아직은 베타서비스이지만, 몇 가지 기능만 개선되면, 더욱 훌륭한 미디어 도구가 될 것 같습니다. twitter id 로 별도의 가입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storify를 만들려고 하면(블로그의 포스팅과 유사합니다.) 이런 화면이 주어집니다. twitter, facebook, flickr, youtube 등에서의 검색결과, 다른 사람들의 메시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storify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의 트윗이나, 지금 타임라인에 있는 글, ..

반응형